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song jong chan.jpg



'김 의신박사의 강의 내용으로 지난 주의 연속입니다. 그는 암을 대하는 자세도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한국인과 미국인은 아주 다르다고 했습니다. MD앤더슨에는 한국의 재력가도 꽤 온다고 합니다. 김 박사는 "한국인 암환자들이 의사에게 꼭 묻는 질문이 있다. 미국인들은 그 질문을 하지 않는다"고 운을 뗐습니다.
그 질문이 뭔가?        
"'선생님, 제가 얼마나 살 수 있습니까?'다. 나는 미국인에게서 그런 질문을 받은 적이 거의 없다. 의사가 그걸 어떻게 알겠나. 그건 하나님만 아는 거다."
그 물음에 미국 의사들은 뭐라고 답하나?   
"'잘 모르겠다'고 답한다. 그럼 한국인 암환자들은 '여기가 세계 최고의 병원인데, 어떻게 그것도 모르느냐?'고 따진다. 내가 옆에서 가만히 쳐다보고 있으면 미국인 의사의 말이 맞다. 몇 년이나 살지 그걸 의사가 어떻게 알겠나. 그런데 재미있는 건 한국인 환자 중에 직업이 의사인 사람들이 그걸 더 많이 물어본다."
그 말 끝에 김 박사는 "한국인 암환자 중에 의사 말을 가장 안 듣는 사람들이 누군지 아느냐?"고 물었습니다. 고개를 저었더니 그는 "의사와 간호사, 약사, 변호사들이다. 그런 직업을 가진 암환자를 치료하기가 가장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왜 그들을 치료하기가 어려운가?         
"그냥 시골에서 온 순박한 사람들은 의사가 처방한 대로 따라온다. 그런데 의사 직업을 가진 한국인 암환자에게 항암약을 처방하면 집에 가서 밤새 인터넷을 한다. 약에 대한 성분과 부작용을 조사한다. 그런데 부작용 내용을 보다 보면 어김없이 '죽을 수도 있다'는 구절이 등장한다. 그럼 그 다음날 병원에 와서 따진다. 왜 내게 이런 약을 처방하느냐고 말이다."
환자 입장에선 그렇게 따질 수도 있는 것 아닌가?
"그게 문제가 아니다. 약을 의심하고, 의사를 의심하면 환자의 마음이 닫힌다. 마음이 닫히면 몸도 닫힌다. 그럼 치료가 안 먹힌다. 그게 진짜 문제다. 한국 사람은 '얼마나 사느냐, 이 치료법이 내게 잘 듣겠는가'만 묻는다. 그런데 그동안 복용한 약명과 용량을 정확하게 얘기하는 사람은 드물다. 미국인 환자는 반대다. 그들은 앞의 질문은 하지 않는다. 대신 자신이 지금껏 복용한 약명과 양을 정확하게 적어서 온다."
어떻게 다른가?                       
"제 동료 중에도 암으로 죽은 사람이 있다. 병문안 가서 나는 우는 걸 본 적이 없다. 31년 동안 숱하게 암환자를 대하면서도 미국인 환자나 가족이 우는 걸 거의 보지 못했다. 그런데 한국인 환자나 가족은 대화를 나누다가 울음이 복받쳐서 얘기를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국인은 기본적으로 삶과 죽음은 신이 결정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병은 전적으로 의사에게 맡긴다. 자신은 마음과 몸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집중할 뿐이다. 그래서 묵묵히 자신이 할 일을 한다. 항암 치료를 받으면서도 회사에 출근을 한다. 죽기 전날까지 일을 하는 경우도 봤다. 그럼 암에 대해서 걱정하는 시간이 훨씬 줄어든다. 미국인 암환자들은 항암 치료를 받으며 구역질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런데 한국인은 다르다. 암에 걸리면 일단 직장부터 그만둔다. 그리고 하루종일 암과 죽음에 대해 걱정하기 시작한다. 그건 환자의 상태를 더 악화시킬 뿐이다. 그래서인지 한국인 환자는 대부분 구역질을 한다."
김 박사는 30년 넘게 암을 연구하고, 암 환자를 상대하고, 암 치료를 해왔습니다. 그는 암의 원인에 대해서 "우리 몸에는 좋은 성분과 나쁜 성분이 늘 같이 있다. 그 둘이 균형을 이루면서 말이다. 그런데 어떤 요인에 의해 균형이 깨지면 병이 생기는 거다. 암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균형을 깨뜨려 암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너무 많아서 암의 이유를 딱히 뭐라고 지적할 수는 없다."
그는 공기를 예로 들었습니다. 우리가 마시는 공기에는 균이 잔뜩 있다고 합니다. "똑같은 곳에서 공기를 마셔도 어떤 사람은 감기에 걸리고, 어떤 사람은 건강하다. 호르몬도 마찬가지다. 모든 사람에게는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이 함께 있다. 둘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 여성 호르몬이 너무 많으면 유방암이나 자궁암이 생긴다. 반면에 남성 호르몬이 너무 많으면 전립선암이 생긴다. 그래서 우리 몸 안의 균형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 박사는 "하얀 쌀밥을 조심하라"고 강조했습니다.
"흰 쌀밥은 완전히 흰 설탕이라고 보면 된다. 설탕을 숟가락으로 먹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 쌀밥을 오래 씹어 보라. 그럼 단맛이 난다. 내가 직접 실험도 해봤다. 흰 쌀밥만 먹고 나서 당을 측정하면 확 올라간다. 그런데 잡곡밥을 먹고 당을 측정하면 내려간다. 그런데 한국의 식당에 가면 대부분 쌀밥만 나온다. 보리밥이나 잡곡밥이 나오는 경우는 드물다. 심지어 병원에서도 식단에 흰 쌀밥을 내놓는 곳이 있다. 그건 상식 이하다. 정말 이해하기 어렵다.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차원에서라도 식당에서 흰 쌀밥이 나오면 곤란하다. 흰 쌀밥 대신 보리밥이나 잡곡밥을 먹는 것도 그런 차원에서 중요하다."
김 박사는 "나이를 먹을수록 몸의 기관에 탄력성이 줄어든다. 탄력성이 줄면 구불구불하게 주름이 잡힌다. 그럼 구불한 지점에 변 같은 배설물이 고인다. 그럼 거기에 염증이 생기고, 암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경보당 한의원 (480) 314-07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02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침구(鍼灸) 의학의 역사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5-02
102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한의학의 기초 이론(基礎 理論)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4-25
101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한의학의 기초 이론(基礎 理論)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4-19
101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한의학의 기초 이론(基礎 理論)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4-11
101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9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4-05
101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8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3-28
»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7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3-21
101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6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3-14
101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5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3-07
101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2-28
101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2-21
101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2-14
100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암(癌)과 음식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2-07
100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음식의 궁합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1-31
100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음식의 궁합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1-24
100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약과 음식의 관계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1-17
100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약과 음식의 관계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1-10
100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약과 음식의 관계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8-01-03
100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12-27
100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12-20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