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song jong chan.jpg



마지막으로는 위의 원인들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지만, 기운이 없어서 어지럼증을 느끼는 경우를 가정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한 실신(失神)이나 불균형 및 도중에서도 중복되는 듯한 표현이기는 하지만, 기력(氣力)이 약(弱)해서 기혈순환(氣血循環)이 제대로 되지 못하여 생기는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료실에서 환자들이 어지러울 때 빈혈이 있다고 표현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실제 혈액검사상 이상은 없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2. 현훈증의 한의학적 견해                      
이러한 어지럼증을 한의학에서는 간(肝)의 기능이상으로 인하여 생긴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 간(肝)은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기운(氣運), 즉 건강하게 잘 움직이는 기운을 표현하는 장기(臟器)로 보고 있으며, 따라서 잘 소통되어야 할 것이 막혀있다거나 혹은 너무 심하게 움직여서 문제가 되는 것은 간의 이상(異常)으로 보았습니다. 지나치게 움직임이 심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어지럼증의 주요 치료 목표점은 간의 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조심할 부분은 간의 기능이라고 하여도 일반적으로 서양의학자들이 말하는 간의 효소치(酵素値)나 황달색소(黃疸色素) 등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간장(肝臟)의 기질적인 이상과는 다르다는 점입니다.                                       
어지럼증은 한자로 현훈(眩暈)이라고 하는데, 현(眩)은 시야가 흐리고 어둡게 느끼는 것을 말하고, 훈(暈)은 머리가 어지럽게 움직이는 느낌을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훈이라고 표현할 때에도 약간의 구분이 있는데, 목현(目眩)은 안화(眼花, 시야에 별같은 것이 떠다니는 것)가 먼저 생긴 후에 머리가 어지러운 것을 표현한 것이고, 전현(前眩)은 머리가 먼저 어지러운 후에 안화가 생기는 것을 말하며, 현모(眩冒)라 하여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운 증상이 포함되어 눈앞이 캄캄해지는 것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이러한 현훈은 십중팔구가 몸의 원기가 허약한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것이고, 병의 기운이 머리 쪽으로 몰려서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는 담화(痰火: 탁한 체액의 누적으로 생기는 발열현상)를 원인으로 봅니다. 이 담화(痰火)라는 것을 현대적인 의미로 본다면 귀에 이상이 있거나 중추신경과 관련된 이상 등으로 인한 어지럼증을 표현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임상에서는 단순히 원기가 허약한 데에서만 어지럼증이 나타나거나 혹은 담화와 같이 나쁜 기운이 인체의 상부로 몰린 실증(實證)에 의해서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허약한 상태와 병적으로 과잉되어있는 상태가 공존하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훈증을 동의보감에서는 바람을 싫어하면서 진땀이 나고 어지러운 풍훈(風暈), 갈증이 많아서 물을 자주 마시면서 어지럼증이 있는 열훈(熱暈), 구토하고 머리가 무거워서 들기 힘들고 두근거리면서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담훈(痰暈), 미간이 아프면서 눈을 뜨기 힘들고 어지러운 기훈(氣暈), 각종 허약한 상태에서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허훈(虛暈),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무겁게 가라앉고 어지러운 습훈(濕暈)의 여섯 가지로 나누어 보고 각각에 대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실제로 임상에서는 어지럼증을 간양상항(肝陽上亢), 기혈휴허(氣血虧虛), 신정부족(腎精不足), 습담교저(濕痰交阻) 등으로 구분하여 병증을 진단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1) 간양상항(肝陽上亢)의 현훈증            
간양상항(肝陽上亢)의 어지럼증은 정서적으로 억울, 분노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속으로 열이 많아지고, 간장(肝臟)의 음기(陰氣)를 손상시켜서 간의 양기(陽氣)가 위로 치솟아서 생깁니다. 또한 신장(腎臟)의 음기(陰氣)가 부족하면, 간에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해주지 못하게 되어서 간의 음기가 부족해지는 결과가 나타납니다. 결국은 간의 음기가 부족하여지면 역시 간의 양기가 위로 치솟아서 어지럼증이 나타나게 되는 병리적 현상입니다.                      
이 때에는 어지럼증이 있으면서 눈이 깔깔하고 머리가 아프고 얼굴이 발그레하게 되며, 가슴이 답답하고 잠이 잘 안오면서 꿈만 많아지고, 손과 발바닥에 열이 나고 입이 쓴 느낌이 있게 됩니다. 임상에서 보면, 비만형의 태음인(太陰人) 체질로 열이 많고 혈압이 높은 경우에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경보당 한의원 (480) 314-07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08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변비(便秘: Constipation)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5-15
108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변비(便秘: Constipation)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5-08
107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변비(便秘: Constipation)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5-01
107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변비(便秘: Constipation)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4-25
107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건강한 대변과 병든 대변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4-17
107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건강한 대변과 병든 대변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4-10
107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건강한 대변과 병든 대변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4-03
107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3-27
107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3-21
107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3-13
107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3-06
107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이석증(耳石症)과 현훈증(眩暈症)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2-27
»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이석증(耳石症)과 현훈증(眩暈症)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2-20
106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이석증(耳石症)과 현훈증(眩暈症)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2-13
106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이석증(耳石症)과 현훈증(眩暈症)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2-06
106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5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1-30
106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1-23
106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1-16
106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1-09
106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9-01-02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