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vakula.JPG

 

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분노운전으로 인한사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한 해에만 도로 위 총격에 의해 413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2018년보다 135% 증가한 수치입니다.

 

실태조사
시장조사기관인 원폴(OnePoll)이 한 대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한 18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는 운전 중 도로에서강제로 나가게 되거나, 차선변경차단, 의도적 끼어들기, 소리를 지르며 모욕을 당하는 등의 위협받는 상황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분노운전이 삶이 되어버린 사람들
포브스지 보고서에 따르면 안타깝게도 아리조나주가 미국에서 날 선 운전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노운전이 많은 미국 상위 5개주는 1위 아리조나, 2위 로드아일랜드, 3위 웨스트버지니아, 4위 버지니아, 5위 오클라호마 순으로 아리조나주는 운전자의 80% 이상이 다른 운전자로부터 고함, 모욕, 저주 등의 위협을 받은 적이 있으며, 31.5%가 소리를 지르거나 싸우려고 차에서 내리는 것을 본 적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꼬리물기(Tailgating) 운전이 아리조나와 오클라호마가 미국에서 세번째로 높고, 로드아일랜드주는 운전자 96.5%가 위협을 당한 경험이 있으며, 웨스트버지니아주와 텍사스주는 고의로 끼어들기를 당하는 경험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주이고, 일리노이주는 타 운전자에 의해 고의적으로 도로에서 밀려나온 경험이가장 높은 곳이었습니다.
최근 텍사스주 및 피닉스에서 분노한 운전자의 총격에 의해 사망하는 사건들이 잇따라 보고되었는데, 왜 이렇게 끔찍한 일들이 계속 발생하는 걸까요?

 

분노를 느끼는 이유
첫째로는 교통체증(39.35%)을 꼽습니다. 둘째는 스트레스(38.06%), 셋째 지각(33.89%), 넷째 짜증(32.49%), 다섯째 누적된 피로(26.86%) 등으로 참지 못하고 쉽게 화를 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분노운전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는 고속도로(26.59%), 주차장(14.9%), 교차로(12.36%), 시골길(6.99%)로 나타났습니다.

 

대처방법
그렇다면 매일 도로에 나서야하는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총격을 서슴치않는 난폭운전자를 피하기 위해서는,
첫째, 화난 운전자의 행동에 맞대응하거나 상대 운전자를 자극하지 않도록 합니다. 성난 운전자의 눈을 보며 언짢은 감정을 주고받은 것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상대방과 레이싱하듯 과속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지나가도록 양보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셋째, 미안한 상황일 때는 수신호나 비상등을 사용하여 미안함을 표현하는 것이 분노로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넷째, 차선변경시 방향지시등을 항상 사용하고 추월차선을 가로막지 않도록 합니다.
다섯째, 모욕감을 주는 제스추어나 맞서는 듯한 표현의 총기나 무기를 보여주는 행동을 하지마십시요.
여섯째, 분노한 운전자가 계속 따라오며 위협한다면, 911에 신고하고 경잘서나 소방서, 병원 같은 공공장소로 이동해 비상등을 켜고 구조대가 올 때까지 주의를 끄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공격적으로 경적을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일곱째, 가능하다면, 상대방의 보복운전을 핸드폰이나 차내 대쉬캠을 사용해 녹화하시기 바랍니다.
여덟째, 평소 과격한 운전을 자제하며, 안전거리를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아홉째, 주차시 다른 사람의 주차공간을 침범한 것은 아닌지 살피시기 바랍니다. 주차시비가 자칫 보복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맺음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스트레스가 없는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상대를 배려하는 관대한 운전습관으로 안전하고 행복한 일상을 누리시기를 간절히 바라고 응원합니다.

 

Disclaimer:
"본 칼럼은 일반적인 법률 정보로, 자세한 법률상담은 변호사에게 직접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This article is for general legal information only.  If you have a specific legal question, please call Mr. Vakula or your own attorney for the exact advice you need")
               

한국어상담:  480-800-79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89 [정기원 목사 알수록 재미있는 성경 나눔] 태산같은 믿음의 아버지 아브라함 49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10-04
1788 [바쿨라 변호사의 법률 칼럼] 게스트하우스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10-04
178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당뇨병(糖尿病)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10-04
1786 [정선심 요리사의 건강요리] 검은 깨 드레싱 샐러드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10-04
1785 [정기원 목사 알수록 재미있는 성경 나눔] 태산같은 믿음의 아버지 아브라함 48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7
1784 [바쿨라 변호사의 법률 칼럼] 게스트하우스 지어도 되나요?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7
178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미니 뇌졸중" 방치하지 마세요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7
1782 [정선심 요리사의 건강요리] 나박물김치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7
1781 [정기원 목사 알수록 재미있는 성경 나눔] 태산같은 믿음의 아버지 아브라함 47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0
1780 [바쿨라 변호사의 법률 칼럼] 부모가 책임져야 하나요?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0
177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산후조리(産後調理)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0
1778 [정선심 요리사의 건강요리] 당근요리 2가지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20
1777 [정기원 목사 알수록 재미있는 성경 나눔] 태산같은 믿음의 아버지 아브라함 46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13
1776 [바쿨라 변호사의 법률 칼럼] 범죄기록을 지울 수 있나요?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13
177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요통(腰痛)의 원인과 치료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13
1774 [정선심 요리사의 건강요리] 채소 오븐구이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13
1773 [정기원 목사 알수록 재미있는 성경 나눔] 태산같은 믿음의 아버지 아브라함 45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06
» [바쿨라 변호사의 법률 칼럼] 도로 위 분노운전이 가장 많은 주(State)는 어디일까요?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06
177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요통(腰痛)의 원인과 치료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06
1770 [정선심 요리사의 건강요리] 무화과 샐러드와 아몬드 검은 깨 드레싱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23-09-06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