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song jong chan.jpg



소변은 몸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여러 가지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소변은 두 개의 콩팥(신장:腎臟)에서 사구체(絲球體)라는 모세혈관으로 만들어진 여과기(濾過器)에서 피가 여과되어 생기는 한외여과액(限外濾過液)이라는 오줌원액이 세뇨관(細尿管)을 거치면서 몸에 필요한 성분은 다시 흡수되고, 몸에 있는 수분의 양에 따라 물의 흡수량이 조절된 후 최종적으로 방광(膀胱)에 고였다가 몸밖으로 배설되는 인체의 폐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변량 너무 많거나 너무 적어도 신장에 이상(異常)이 있는 것으로 봐야합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소변량은 평상시 대략 1.6리터 정도입니다. 체내 수분 부족 시에는 0.5리터 정도까지 체내수분 과잉 시에는 최대 15리터 정도까지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황에서 하루에 배설되는 소변량은 대부분 거의 비슷하게 유지되고, 하루. 임상적으로 하루 소변량이 500 mL 미만인 경우는 핍뇨(乏尿)라 하며, 100 mL 미만이면 무뇨(無尿)라고 하며, 3리터 이상이면 다뇨(多尿)라고 합니다.                      
하루 소변량이 500 mL 미만인 핍뇨의 경우 급성신부전(急性腎不全)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급성신부전이라 함은 신장의 기능이 갑자기 저하된 경우를 총칭하며, 그 원인에는 세뇨관 괴사같은 신실질의 손상, 심한 저혈압에 의한 신장에의 혈액 공급 부족, 소변배설로의 폐색 등이 있습니다. 핍뇨보다 하루 소변량이 더욱 줄어 100 mL 미만인 경우 무뇨증이라 하며 이는 양측성 신피질괴사, 양측성 신동맥폐색으로 인한 신장 혈류 완전 차단, 양측성 요관 완전 폐색으로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의 배설경로가 완전히 차단된 경우 초래됩니다. 평소 건강하던 사람에서 갑자기 소변량이 500 mL 미만으로 감소된 경우, 즉 핍뇨 또는 무뇨증은 즉각적인 진단과 처치를 요하는 응급상황으로 적절한 대처가 필수적입니다.            
하루 소변량이 3리터 이상인 다뇨증의 경우 뇌하수체(腦下垂體)에서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되지 않는 중추성 요붕증, 항이뇨 호르몬은 정상적으로 분비되지만 신장기능 이상에 의한 신장성 요붕증 또는 정신병 환자가 물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경우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이 불충분할 때 오는 삼투성이뇨에 의한 다뇨증이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소변량이 밤에 많은 경우는 야뇨증이라고 하는데, 야뇨증은 정상적으로 노인에서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상성인의 경우 밤에 생성되는 소변량은 낮에 생성되는 소변량에 비해 반정도로 적으나 나이가 들면서 상대적으로 밤의 소변량이 점차 늘면서 60세가 되면 낮과 밤의 소변생성량이 비슷해집니다. 그 외 저녁 또는 밤에 물을 많이 먹거나, 커피 또는 알코올을 섭취한 경우에는 이들의 이뇨작용으로 일시적인 야뇨증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부종이 있는 사람에서 낮에 활동 후 밤에 누우면 부종상태로 세포간질 내에 축적되어 있던 체액이 혈관내로 이동함으로써 소변량이 늘어나서 야뇨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정상인의 오줌은 투명하거나 엷은 황갈색을 띠는데 과음을 하거나 과로한 경우에는 짙은 황갈색의 오줌이 나오지만 이것은 병적인 경우가 아닙니다. 붉은색 오줌의 가장 많은 원인은 오줌에 피가 섞이는 혈뇨가 많습니다. 남자에서는 소변이 끝날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전립선염이나 충혈에 의할 때가 많고 대개 음주후 사정을 참거나 억지로 지연시킨 경우에 올 수 있습니다. 소변이 짙은 황색을 띠고 속옷이 노랗게 물들며 눈동자가 노랗다면 황달(黃疸)이고 간이나 쓸개에 병이 있는 경우가 됩니다. 검은색 소변은 흑색종과 같은 암에서 나타나는데, 보통 혈뇨는 콜라나 붉은 간장 빛깔로 보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핏속의 포도당이 180ml/dl 이상으로 상승하면 오줌에 섞여나오는데, 오줌 눈 곳에 개미가 모이는 것을 보고 옛날 의사들은 당뇨병을 진단했다는 말처럼 당뇨병때 보는 현상이지만 세뇨관 기능에 이상이 있어도 당의 재흡수가 안되어 당뇨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단백질이 섞이면 단백뇨라고 하는데 사구체신염(絲球體腎炎), 만성신부전(慢性腎不全), 당뇨병성 신장병, 세뇨관-간질(間質) 신장병 등에서 나타납니다. 단백이 섞인 오줌은 표면장력이 커지므로 오줌을 눌 때 거품이 일어나면 의심을 갖고, 단백뇨가 심하면 몸이 붓는 부종증세(浮腫症勢)가 나타납니다. 오줌을 원심분리하여 남는 찌꺼기를 요잔사(尿殘渣)라고 하는데, 요잔사에는 정상에서는 세포가 없지만 현미경으로 보아 1개 이상의 적혈구가 보이면 혈뇨, 5개 이상의 백혈구가 보이면 뇽뇨(膿尿)라고 하는데 세균감염으로 인한 신우신염(腎盂腎炎), 방광염(膀胱炎), 요도염(尿道炎), 전립선염(前立腺炎) 등에서 보이고 이때는 균이 발견됩니다. 


경보당 한의원 (480) 314-07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98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복날과 보양음식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7-26
98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복날과 보양음식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7-19
97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복날과 보양음식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7-12
97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복날과 보양음식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7-05
»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소변과 건강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6-28
97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건강관리 5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6-21
97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건강관리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6-14
97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건강관리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6-07
97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건강관리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6-03
97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건강관리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5-24
97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위생관리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5-17
97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생강과 무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5-12
96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생강(生薑)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5-03
96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생강(生薑)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4-26
96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생강(生薑)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4-19
96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우황(牛黃)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4-12
96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우황(牛黃)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4-12
96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애엽(艾葉)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3-23
96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의이인(薏苡仁)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3-15
96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의이인(薏苡仁)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7-03-08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