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song jong chan.jpg


하수오는 원래 중국이 원산지인 약초로 뿌리가 고구마처럼 생기고 색깔이 붉어서 적(赤)하수오이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자생종이 아닙니다. 

재배한 하수오와 야산 또는 민가 부근의 것은 대부분 중국 수입종일 공산이 큽니다. 간혹 산에서 수 십년 전에 심었던 중국 수입종 적하수오를 캐면 마치 우리나라의 자생 하수오라고 뻥(?)쳐서 거액을 부르는 이들도 있으니 주의가 요망됩니다. 

이것말고 백(白)하수오가 또 있는데 뿌리 생김새가 길쭉하니 다르고 색깔도 흰색입니다. 백하수오는 자생종이어서 우리나라 산야 전역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산에서 캐는 것은 대개 백하수오입니다. 그러니 이시진의'본초강목(本草綱目)'에 기록된 적하수오를 캐려고 국내에서 명산심곡을 헤매는 것은 좀 가망 없는 일처럼 보입니다. 우리나라 농가에서 재배되어 생약시장에 '하수오'라 하여 건근(乾根)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은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큰조롱의 뿌리가 백하수오입니다. 

백하수오와 하수오는 식물분류학상 과(科)가 서로 다른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이름을 혼동하여 잘못 사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백하수오는 잎이 마주나지만 적하수오는 어긋나며 꽃피는 시기도 백하수오는 여름에 피지만, 적하수오는 가을에 자잘한 꽃이 군락을 이루며 핍니다. 

하수오=백하수오라고 하는 잘못된 인식은 조선조 말기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창시자인 이제마(李濟馬)의 동위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국내에 자생하지 않는 하수오를 대신하여 효능이 비슷한 큰조롱을 약재 하수오 대용으로 사용한 후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수오는 여래해살이풀로 여뀌과에 속한 만초(蔓草)의 괴근(塊根)입니다. 이 하수오는 옛부터 우리나라의 인삼(人蔘), 구기자(枸杞子)와 함께 강정(强精)의 3대 약초로 여겨져 왔습니다. 

허준 선생님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열람하면, 하수오에 대하여 "옛날 어떤 사내가 날때부터 몸이 약하고 늙어서 자식이 없었다. 하루는 산중에서 술에 취해 누웠다가 한 등나무 같은 것이 두 가지에 다른 싹이 나서 서로 엉크러져 있는 것을 보고 마음 속으로 이상하게 여겨서 뿌리를 캐어 말려 가루를 내어 술로 마셨다. 그런데 7일이 지나니 여자생각이 나고, 100일을 먹으니 오랜병이 다 낫고, 1년이 되니 정력이 왕성해져 아이를 낳고 130세까지 살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수오는 수 많은 덩굴과 줄기가 서로 부둥껴안고 엉켜서 자라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 모습 때문에 하수오를 한자로 야교등(夜交藤), 교경(交莖), 교등(交藤), 야합(夜合)이라고도 부릅니다. 

또한 뿌리를 캐보면 커다란 돌멩이가 말의 간(肝)처럼 생겼다고 하여 마간석(馬肝石)이라고도 부릅니다. 

야교등(夜交藤)이란 별명은 마치 암수의 구별이 있어 낮에는 덩굴이 곧게 뻗어 있다가 밤이 되면 암수 두 줄기가 서로 꼬이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하수오는 성미(性味)가 고삽미온(苦澁微溫)이라 하여, 맛이 쓰고 떫으며 약간 따뜻한 성질이 있으며, 귀경(歸經)은 간(肝)과 신(腎)의 2경(經)입니다.  

하수오를 쌀뜨물에 하루 담둬서 검은 콩즙에 버무려서 구증구폭(九蒸九曝:아홉 번 찌고 아홉 번 햇볕에 말림)하면 보간신(補肝腎) 익정혈(益精血)의 효능(效能)이 있어서 음허(陰虛)로 인한 혈고(血枯:피가 고갈된 증상), 발조백(髮早白:머리카락이 일찍이 희어짐), 근골불건(筋骨不健:근육과 골격이 약해짐) 등의 증상을 다스리는 양약(良藥)입니다.

하수오를 생용(生用)하면 해창독(解瘡毒) 능통변(能通便)하는 효능이 있어 나력옹창 (결핵성 임파선염), 장조변비(腸燥便秘:대장의 윤활액이 부족해서 생기는 변비)의 증상을 다스립니다. 

중국 송나라 시대의 약재에 관한 의서인 개보본초(開寶本草)에서는 부인의 산후병(産後病)과 대하증(帶下症)을 다스리고, 골수(骨髓)를 채워주고 모발(毛髮)을 검게 해주며, 혈기(血氣)를 더해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하수오는 현대의 골다공증(骨多孔症)과 퇴행성 관절질환에 많이 활용되고 있우며, 약리학적(藥理學的) 연구에 의하면, 하수오는 anthraquinone유도체를 함유하고 그 주성분은 chiysophanol과 emodin이며, 또한 rhein, physcion, lecithine, 전분 및 지방을 함유합니다. Lecithine은 신경을 강장(强壯)하게 하고 cholesterol의 간장(肝臟) 침착을 저지하며, 동맥경화를 경감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Emodin과 rhein은 장관(腸管)의 연동운동(連動運動)을 촉진하여 통변(通便)하게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경보당 한의원 (480) 314-07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6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7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2-05
76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6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29
75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5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22
75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16
75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08
75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31
75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25
75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유산의 후유증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18
75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연유산 (自然流産: miscarriage)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11
75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연유산 (自然流産: miscarriage)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04
75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연유산 1(自然流産: miscarriage)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26
75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궁외 임신과 유산 후유증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20
74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궁외 임신과 유산 후유증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13
74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에볼라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06
747 [미셸김 원장 칼럼] 10월의 마지막 밤을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30
74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에볼라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30
745 [미셸김 원장 칼럼] 애 국 심. 존 경 심.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23
74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임신과 불임증(Sterility)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23
743 [미셸김 원장 칼럼] 가을은 깊어가는데...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16
74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임신과 불임증(Sterility)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16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