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미국에 이민와서 열심히 생활해가는 많은 이민가정의 로망중의 하나는 바로 자녀들이 훌륭한 직업을 택할 수 있는 전공의 길을 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의사, 약사, 간호사, 변호사 등 고국인 한국에서도 선망하는 이른바 '사'자가 들어가는 직업의 길을 갈 수 있는 전공을 선택하여 자녀들이 부모세대들과는 다른 미국사회의 주류의 길을 갔으면 하는 바람을 부모님들을 갖고 있습니다.
지난 주 칼럼에서 우리는 대학은 분명히 가야할 가치가 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렇다면  이어지는 고민은 바로, '그럼 전공은 무엇을 택해야하나?'이겠죠? 
우선 질적인 접근을 해봅시다.  전공선택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쉽게 떠오르는 말들은 
"너는 뭘 좋아하니?" 
"네가 좋아하는 것을 해라"
"네가 평생에 걸쳐 좋아하는 일을 한다면 얼마나 행복하겠니?" 
매우 일리가 있는 말입니다. 하지만 정답은 아닙니다. 한국에서 진학상담을 했던 어떤 고3 선생님의 사례였습니다. 학생이 게임에 빠져 공부를 게을리하고 당연히 성적은 바닥권이었답니다. 진학상담을 위해 부모님을 모시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대학을 간다면 어떤 전공을 하고 싶은가에 대하여 물었더니, 학생도 그렇고 학부모님도 그렇고 본인이 게임을 좋아하니까 게임을 만드는 그런 전공을 하면 어떨까라고 이야기 했답니다. 대학에 진학할 수 있을지 없을지 성적은 차치하고라도 과연 선생님은 그 의견에 찬성하셨을 까요?
칼리지보드에서 출판하는 "2012 Book of Majors"에 보면 전공 선택과 관련하여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합니다. 
"당신이 이런 일들을 좋아한다면 아마도 이 전공도 좋아할 것입니다."
"만약 당신이 이런 일들을 잘한다면 이 전공을 고려해 볼만 합니다"
즉 본인이 좋아하는 것 뿐만 아니라, 또한 본인이 잘하는 것을 함께 고려해야한다는 것이죠.
한국의 그 학생이야기로 돌아가, 게임을 만드는 전공을 하고자 한다면 학생이 선호하는 것들의 리스트는 이야기하기(특히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으로), 퍼즐 풀기, 만화, 책읽기(특히 픽션, 자서전, 역사), 실험, 그룹프로젝트에서 도움 주고받기입니다. 그리고 학생이 잘하는 것들의 리스트는 팀웍, 창의성, 세부적인 것에 집중하기, 계량적 분석, 비판적 읽기와 사고하기, 시간관리, 호기심, 리더쉽, 작문, 뛰어난 시각적 상상력 등등입니다. 이 두가지 리스트에 해당하는 항목들이 잘 매치될 때 게임만드는 전공을 공부하는 것은 학생에게 매우 큰 즐거움이 될것입니다.
한정된 지면 안에 각 전공별 관련된 내용을 모두 설명하기는 힘듭니다.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학부모님들이 자녀분들의 전공선택과 관련하여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다음 칼럼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학교의 카운슬러가 어쩌면 이런 부분과 관련한 정보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즉, 보모님이 자녀들의 전공선택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찰과 커뮤니케이션으로 최적의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 주셔야 합니다.
자신의 전공에 관한 심각한 고민없이 명문대 진학만을 목표로 할 경우 대학교 입학 후 큰 방황에 빠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1995년~2007년 까지 하버드, 예일, 코넬, 콜롬비아 등 14개 명문대에 입학했던 한인학생 1400명을 분석한 논문에 따르면 무려 44%의 학생들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했다고 합니다. 얼마나 큰 손실입니까?
두번째로 전공선택과 관련하여 계량적인 접근, 다시 말해 경제적인 접근을 해보겠습니다. 왜냐하면 대학 졸업후 경제적인 안정이라는 측면은 큰 동기부여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대학졸업 후 가장 연봉이 높은 전공은 바로 원유공학(Petroleum Engineering)입니다. 2009년 기준, 원유공학 졸업자들의 연봉 중간값은 $120,000이고 상위 25%에 해당하는 연봉은 무려 $189,000입니다. 굉장하죠? 그런데 전 미국에서 이 전공이 있는 대학은 28개에 불과합니다. 이 전공과 비슷한 광산공학(Mining Engineering)의 경우 매년 은퇴자를 대체하기 위한 신규인력이 300명이 필요한데 전미에서 통틀어 19개 대학, 광산공학 졸업자들은 174명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당연히 입학하는 것이 쉽지는 않겠죠? 하지만 졸업과 동시에 완전 취업과 높은 연봉이 보장 되겠죠? 
그렇지만  작업환경은 굉장히 열악합니다. 물론 직접 광물을 캐거나 원유를 채취하지는 않더라도 직장은 당연히 광산 혹은 해양 원유 플랜트 같은 거칠고 위험한 환경아래 일해야 합니다. 이 처럼 원유공학과 같은 전공은 비록 졸업후 연봉은 매우 높지만 매우 제한적인 접근이 허용되고 또한 아무나 쉽게 공부하려고 하는 인기있는 학문은 아닙니다. 
다음 주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연봉이 높은 전공, 낮은 전공, 인종별, 선호하는 전공 등 보다 구체적인 수치를 살펴보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6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7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2-05
76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6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29
75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5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22
75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16
75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5-01-08
75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31
75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남성의 생식기관과 질환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25
75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유산의 후유증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18
75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연유산 (自然流産: miscarriage)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11
75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연유산 (自然流産: miscarriage)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2-04
75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연유산 1(自然流産: miscarriage)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26
75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궁외 임신과 유산 후유증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20
74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자궁외 임신과 유산 후유증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13
74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에볼라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1-06
747 [미셸김 원장 칼럼] 10월의 마지막 밤을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30
74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에볼라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30
745 [미셸김 원장 칼럼] 애 국 심. 존 경 심.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23
74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임신과 불임증(Sterility)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23
743 [미셸김 원장 칼럼] 가을은 깊어가는데...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16
74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임신과 불임증(Sterility)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10-16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