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ryu yeon chel.jpg


허리 질환은 중년이나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병이라고 생각하기 쉽죠? 하지만 최근에는 20~30대 젊은이들에게서도 '허리 디스크'와 같은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해가 바뀔수록 신체는 퇴행하기 마련인데 젊어서부터 허리 디스크라니…. 평소 잘 관리하고 부지런히 치료해서 더 큰 고생은 막아야겠습니다.  


10대에도 생긴다?


디스크의 중심부 구조물인 수핵은 18세 이후부터 정상적으로 퇴화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퇴화가 시작됨에 따라서 그 이후에는 누구나 허리 디스크 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영향 때문이 아니라, 최근에는 평소 스트레칭이 부족하거나 충분한 운동 없이 오랜 시간 사무실에 앉아서 일만 하거나, 무리하게 허리를 사용하거나 혹은 어려서부터 바르지 못한 자세가 습관이 된 경우, 2-30대에서도 허리 디스크가 흔한 질병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10대에서도 발생하는 추세입니다. 이처럼 허리 디스크는 나이를 불문하고 모두에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젊은 허리 디스크 환자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잘못된 자세와 스트레칭을 비롯한 가벼운 운동의 부족입니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척추가 휘거나 한쪽으로 치우친 압력에 의해 디스크가 돌출될 수 있고,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척추 옆 근육은 약화되고 골밀도가 감소하여 디스크 질환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장시간 가만히 앉아있거나 허리를 굽히고 작업을 하는 경우, 한 자리에 가만히 서있고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도 역시 디스크 질환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아울러 지나치게 무거운 짐을 들거나 부담을 주는 자세로 허리를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 디스크 질환이 발생합니다. 또한 젊은 디스크 환자들은 보면 대체로 비만인경우가 많습니다. 비만인 경우 복압의 증가 및 허리가 지지해야 하는 하중의 증가로 디스크의 수핵이 탈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리 디스크, 어떻게 아픈가?


허리디스크에서 가장 흔하고 중요한 증상중의 하나는 요통으로, 쉬면 통증이 덜하고 일을 하거나 운동을 하면 심해집니다. 하지만 허리 디스크가 있다고 반드시 요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허리 디스크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는 찌릿찌릿한 통증이 한 쪽 다리를 타고 뻗치는 것입니다. 이것을 방사통이라고 하는데, 어느 레벨의 신경이 눌렸는가에 따라서 넓적다리와 정강이 그리고 발등 등 각각 방사되는 부분이 각각 다릅니다. 이로 인해 근육의 힘이 약해지고 무릎이나 발목, 발가락의 밀고 당기는 힘에서 양쪽이 차이를 보이기도 하며 심할 경우에는 힘이 빠지고 다리를 절기도 합니다. 


다음주에는 생활습관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 병원에서는 디스크질환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최첨단 Decompression 기기를 사용하여 디스크를 치료하고 있습니다. 치료와 관련해서는 저희 병원으로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645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4)-'천둥의 신'은 인간을 원하지않았다 file 어드민 2014-02-12
644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융자의 종류 잘 이해하면 주택 구입 어렵지 않아 file 어드민 2014-02-12
643 [미셸김 원장 칼럼] 건강 또 건강 file 어드민 2014-02-05
64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3 file 어드민 2014-02-05
641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4)-제이콥 왈츠, 피닉스에 정착하다 file 어드민 2014-02-05
640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좋은 조건의 주택 세금보고 시즌 마감까지 기다려보자 file 어드민 2014-02-05
63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2 file 어드민 2014-01-30
638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3)-'슈퍼스티션' 산에서 전멸한 광부들의 이야기 file 어드민 2014-01-30
63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관절염(關節炎) 1 file 어드민 2014-01-22
636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2)-'더치맨' 제이컵 왈츠와 페랄타의 인연 file 어드민 2014-01-22
635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금리인상이 부동산시장 회복시킬까? file 어드민 2014-01-22
63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감기의 한방치료 file 어드민 2014-01-16
633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로스트 더치 맨의 황금과 슈퍼스티션 산의 전설 file 어드민 2014-01-15
632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2014 부동산 버블 주의! file 어드민 2014-01-15
63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동의보감에서의 건강비결 file 어드민 2014-01-09
630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미국 부동산 투자경험 많은 중국인들의 투자형태가 바뀌고 있다 file 어드민 2014-01-09
62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지방간 3 file 어드민 2013-12-31
62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지방간 2 file 어드민 2013-12-24
627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새로 맞이하는 해 바뀌는 모기지 규정 미리 알고 준비하자 file 어드민 2013-12-24
62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지방간 1 file 어드민 2013-12-19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