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song jong chan.jpg


"길 떠나는 남편에게 새박뿌리를 주지말라!"

하수오는 옛날부터 산삼과 견줄 만한 영약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하수오를 먹고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거나 수백 년을 살았다는 얘기가 전해 왔습니다.


옛날 중국의 어느  남쪽 지방에 전하는 이야기입니다. 하전아(何田兒)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몸이 몹시 허약하여 58살이 되도록 장가도 못 들고 혼자서 살았습니다. 어느 날 그는 집 뒤에 있는 작은 산에 올라가 술을 마시고 취해 누워 있다가 이상하게 생긴 넝쿨식물을 보고 흥미를 느꼈습니다. 두 그루의 넝쿨이 서로 엉켜 마치 사랑을 나누고 있는 것처럼 보였던 것입니다. 그는 이 넝쿨식물의 뿌리를 캐어 집으로 돌아와서 친구들한테 보였으나 아무도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했습니다. 

그는 그 뿌리를 옆에 두고 누었다가 깜박 잠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꿈속에 홀연히 머리카락과 수염이 눈처럼 하얀 노인이 나타나더니 그를 불렀습니다.  "전아! 전아!" 그는 대답을 하려 했지만 말이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 우물쭈물하고 있는 사이에 노인이 말했습니다. "네가 오늘 산에서 캔 뿌리는 신선(神仙)이 주는 선약(仙藥)이니 정성스럽게 먹도록 하여라." 하전아가 꿈에서 깨어 보니 한밤중이었습니다. 이상한 꿈이라고 생각하고 다시 잠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날이 밝을 때까지 똑같은 꿈을 세 번이나 꾸었습니다. 

예사 꿈이 아니라고 생각한 그는 그 뿌리를 돌절구에 찧어서 가루 내어 하루 세 번, 밥 먹기 전에 먹었습니다. 한달쯤을 먹고 나니 몸에 기운이 나고 머리도 맑아졌습니다. 그는 다시 산에 올라가 그 넝쿨의 뿌리를 많이 캐서 가루로 만들어 두고 일 년을 더 먹었습니다. 그랬더니 허약하던 몸이 쇳덩어리처럼 단단해지고 기운도 세어졌습니다.

나이는 비록 60살이  다 됐지만 머리카락이 까맣게 바뀌고  얼굴이 젊은이같이 바뀌어 보는 사람마다 이상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는 마침내 60살에 아내를 맞이하여 아들을 낳고 아들의 이름을 연수(延壽)라고 지었습니다. 

연수가 건강하게 자라나 어른이 되었을 때 하전아는 아내와 아들에게 자신이 먹은 신기한 약초 뿌리에 대해 말해 주었습니다. 그들 세 식구는 산에 올라가 그 넝쿨식물의 뿌리를 캐서 말려 가루 내어 두고 날마다 열심히 먹었습니다. 그랬더니 아들 연수는 백살이 되었어도 머리카락이 까마귀처럼 검은빛이었고 아버지는 160살까지 살았습니다. 연수가 130살이 되었어도 머리카락이 까맣다고 하여 사람들은 그를 하수오(何首烏)라 불렀습니다. 

그의 성이 하씨이고 머리카락(수:首)이 까마귀(오:烏)같이 까맣다는 뜻입니다. 그 뒤부터 사람들은 이들이 먹던 약초의 뿌리를 하수오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또 중국의 무협소설에서 주인공은 도가(道家)의 내단술(內丹術)을 통해서, 또는 선초(仙草) 영약(靈藥)을 먹게 되는 기연으로 정신과 신체가 변화하는 이야기가 숱하게 나옵니다. 

예를 들면 아미파(峨嵋派: 소림의 선불(禪佛)무술)의 주요 검선(劍仙) 중 하나인 영경이라는 여선(女仙)은 망창산에서 강시와 요괴 같은 흉물들에게 쫓기다가 어린아이(童子) 모양을 한 수백 년 묵은 하수오(何首烏)를 먹게 된 후 몸이 제비처럼 가벼워져 평지에서도 별 힘을 안 들이고 수 십장(丈)을 솟아 오를 수 있게 됩니다.                  

하수오라는 약물은 영지(靈芝)와 같이 중국 무협소설에 자주 등장하는데, 아미의 도인들이 이를 먹고 곧 탈진한 내력(耐力)이 회복되거나 심지어 반로환동(返老還童:늙은이가 아이로 돌아감)까지 합니다.


명나라 때 의가(醫家)인 이시진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50년 된 하수오 뿌리는 주먹 크기만한데 이름을 산로(山老)라고 한다. 1년쯤 먹으면 수염과 머리칼이 청흑(靑黑)색이 된다. 150년 된 것은 크기가 물 긷는 항아리만한데 산가(山哥)라 한다. 1년쯤 먹으면 안색이 붉고 부드러워져 젊은이처럼 된다. 200년 된 것은 고리짝만큼 큰데 산옹(山翁)이라 부른다. 먹으면 안색이 어린애와 같고 걸음걸이가 달리는 말과 같아진다. 300년 된 것은 크기가 서 말들이 고리짝만하다. 이름을 산정(山精)이라 하는데 순수한 양기(純陽) 자체여서 구복하면 지선(地仙)이 된다"고 적고 있습니다.


서 말들이 고리짝이면 얼마나 클까요? 1말이면 쌀이 8㎏쯤 되니까 힘없는 사람은 들어올리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이걸 먹으면 세상의 선계(仙界)에 살면서 불로장생하는 신선인 지선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럴 수만 있다면 우리나라 사람들 중 천금(千金)을 아끼지 않을 이가 적지 않을 것입니다.


"길 떠나는 남편에게 새박뿌리를 주지말라"라는 얘기에 나오는 새박뿌리가 바로 이 하수오입니다. 


경보당 한의원 (480) 314-07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01 [미셸김 원장 칼럼] 선진국으로 가는 길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18
700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루즈벨트 댐 '태양의 계곡'에 번영을 가져오다(3)-정부 융자금 재상환 위해 회원 토지를 저당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18
69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소변(小便)과 건강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18
698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루즈벨트 댐 '태양의 계곡'에 번영을 가져오다(2)-아리조나 전함 진수식에 등장한 저수지 물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11
69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소변(小便)과 건강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11
696 [미셸김 원장 칼럼] 장미꽃 인생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04
695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루즈벨트 댐 '태양의 계곡'에 번영을 가져오다(1)-솔트 강에 저수물 방류 날을 공휴일로 지정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04
69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소변(小便)과 건강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6-04
693 [미셸김 원장 칼럼] 웬수같은 영어야 놀자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28
692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황야에 강물이 흘러흘러 옥토가 되고 (6)- 황무지 '태양의 계곡'에 밀, 보리가 자란다 (하)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28
69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변비(便秘: Constipation)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28
690 [미셸김 원장 칼럼] 학교를 떠나는 영희에게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21
689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황야에 강물이 흘러흘러 옥토가 되고 (5)- 황무지 '태양의 계곡'에 밀, 보리가 자란다 (상)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21
68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변비(便秘: Constipation)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21
687 [미셸김 원장 칼럼] 흙 냄새를 찾아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14
686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황야에 강물이 흘러흘러 옥토가 되고 (4)-댐이 터져 40억 갤런 저수 물에 100여명이 사망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14
68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변비(便秘: Constipation)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14
684 [미셸김 원장 칼럼] 어 머 니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07
683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황야에 강물이 흘러흘러 옥토가 되고 (3)-천의 얼굴을 가진 '솔트 강'에 개척민이 모여들다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07
68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좋은 대변과 병든 대변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5-07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