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song jong chan.jpg


작약은 한의약에서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천궁(川芎)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 중에 하나입니다. 작약의 우리나라 대표 생산지인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과 사곡면에서는 매년 5월과 6월이 되면 탐스럽고 아를다운 작약꽃(함박꽃)의 군락으로 온 지대가 장식되어 마치 네덜란드의 튜울립 화훼 단지를 보는 듯 합니다. 


작약의 종류

1. 백작약(白芍藥)

백작약은 산작약(山芍藥)과 가작약(家芍藥)의 뿌리를 말린 것 입니다. 산작약은 한반도 각지의 깊은 산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야생 약초이며, 가작약은 농가의 집 주변이나 밭에서 재배한 약초입니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서 대나무 칼로 겉껍질을 제거하고 썰어서 햇볕에 건조합니다.

성분은 안식향산(安息香酸)ㆍ수지(樹脂)ㆍ포도당ㆍAsparaginㆍ전분(澱粉) 등을 함유합니다. 성미(性味)는 평무독(平無毒)하고 미고(微苦)하고 약산(弱酸)라 하여 뜨겁지도 차지도 않고 독성이 없고, 약간 씁쓸하고 시큼한 맛이 있습니다. 귀경(歸經)은 간장(肝臟)ㆍ비장(脾臟)ㆍ폐장(肺臟)의 경락에 관여합니다. 

그의 효능(效能)은 유간지통(柔肝止痛)ㆍ양혈렴음(養血斂陰)ㆍ평억간양(平抑肝陽)으로 간의 기능을 부드럽게 하여 복중경결(腹中硬結: 복부에 기혈 순환의 불량으로 딴딴하게 뭉쳐진 병증)과 흉복동통(胸腹疼痛)과 협통(脇痛: 옆구리의 통증)을 다스리며, 혈(血)을 배양시켜서 음(陰)의 기운을 모아서 표허자한(表虛自汗: 체표의 기능 상실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땀이 많이 나는 증상)과 현훈(眩暈:어지러움)을 다스리며, 또 간의 양(陽)의 기운을 평탄하게 억제하여 월경불순(月經不順)과 혈리(血痢:피를 보이는 이질) 등의 증상을 다스리는데 응용됩니다.

백작약은 천지(天地)의 음기(陰氣)를 품(稟)하고 겸(兼)하여 갑목(甲木)의 기(氣)를 얻고 태어났고 미박기후(味薄氣厚:맛은 얇고 기는 두텁고)하며 양중(陽中)의 음(陰)의 성질이 있습니다. 성질은 승(升)하되 미강(微降)하며 완화(緩和)ㆍ자양(滋養)ㆍ강장제(强壯劑)로서 겸하여 진정진경(鎭靜鎭痙)의 작용이 있어서 사간(瀉肝) ㆍ 안비(安脾)ㆍ이폐(理肺)ㆍ보신(補腎)ㆍ완중(緩中)ㆍ거수(去水)의 요약(要藥)이 되고, 위장항진(胃腸亢進)으로 일어나는 복통(腹痛)ㆍ이질(痢疾)ㆍ위통(胃痛)ㆍ혈비(血脾:신경통)ㆍ목통(目痛)ㆍ자궁통(子宮痛)ㆍ옹저(癰疽) 등의 증상에 적용하여 진통(鎭痛)ㆍ화혈(和血)ㆍ청열(淸熱)ㆍ거담(祛痰)ㆍ조경(調經)하고, 여성의 일절통(一切痛)ㆍ산전산후(産前産後)의 제증(諸證)을 다스리며 부인과(婦人科) 치료의 도제(度劑)가 됩니다.

백작약은 혈(血)을 보(補)하고 신경(神經)을 완화(緩和)하고 혈관을 수렴(收斂)하는 공효(攻效)가 있고 겸하여 이뇨(利尿)하며, 장막암(腸膜癌) 및 자궁암의 출혈과 혹은 통증을 다스리는 작용을 합니다.

임상에서 백작약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백작약에 백출(白朮)을 배합(配合)하여 보비(補脾)하고, 천궁(川芎)을 배합하여 사간(瀉肝)하며, 인삼(人蔘)과 배합하여 보기(補氣)하고, 술에 볶은 당귀(當歸)와 배합하여 보혈보음(補血補陰)하며, 감초(甘草)와 배합하여 복통(腹痛)을 멈춰주고 기혈(氣血)을 조화(調和)시킵니다. 

황연(黃連)과 배합하여 사리(瀉痢:설사와 이질)를 멈추게 하고, 방풍(防風)과 배합하여 두진(痘疹:천연두)을 발산하고, 생강과 대추를 배합하여 진경산습(鎭痙散濕: 경련을 진정시키고 습을 흩어지게 함)ㆍ온화영위(溫和營衛)하며, 오수유(吳茱萸)ㆍ황연(黃連)을 배합하여 협통(脇痛)을 다스립니다.

목통(木通)ㆍ대황(大黃)ㆍ황연(黃連)을 배합하여 이질복통(痢疾腹痛)ㆍ이급후중(裏急後重)을 다스리며, 적작약(赤芍藥)ㆍ자초(紫草)를 배합하여 반동(班疼)의 색자신통(色紫身痛)을 다스리며, 부자(附子)를 배합하여 발한후(發汗後) 자한(自汗)ㆍ오한(惡汗)을 다스립니다.

또 당귀(當歸)와 지실(枳實)을 배합하여 복중동통(腹中疼痛)을 다스리며, 인삼(人蔘)ㆍ백출(白朮)ㆍ백복령(白茯笭)ㆍ자감초(炙甘草)ㆍ육두구(肉豆寇)ㆍ귤피(橘皮)ㆍ 차전자(車前子)를 배합하여 비허설사(脾虛泄瀉)를 다스리며, 형개(荊芥)ㆍ방풍(防風)ㆍ생지황(生地黃)ㆍ황기(黃耆)ㆍ자감초(炙甘草)와 배합하여 장풍하혈(腸風下血)을 다스립니다. 

녹용(鹿茸)ㆍ당귀(當歸)ㆍ숙지황(熟地黃)과 배합하여 신허한요복통(腎虛寒腰腹痛) ㆍ두현(頭眩)을 다스리며, 당귀(當歸)ㆍ숙지황(熟地黃)ㆍ우슬(牛膝)ㆍ건강초흑(乾薑炒黑)ㆍ속단(續斷)ㆍ맥문동(麥門冬)ㆍ오미자(五味子)를 배합하여 산후혈허발열(産後血虛發熱)을 다스리며, 황기(黃耆)ㆍ방풍(防風)과 배합하여 표허상풍(表虛傷風) ㆍ자한(自汗)을 다스립니다.

중한복통(中寒腹痛)ㆍ중한설사(中寒泄瀉)ㆍ복중냉통(腹中冷痛)ㆍ오한무한(惡寒無汗)의 증상에는 복용해서는 안됩니다.                   


경보당 한의원 (480) 314-07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681 [미셸김 원장 칼럼] 아픔 후에 오는 깨달음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30
680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황야에 강물이 흘러흘러 옥토가 되고 (2)-호호캄 족의 옛 수로에 물이 흐른다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30
67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좋은 대변과 병든 대변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30
678 [미셸김 원장 칼럼] 인간의 참 모습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23
677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황야에 강물이 흘러흘러 옥토가 되고 (1)-22개의 댐과 저수지로 물을 관리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23
67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좋은 대변과 병든 대변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23
675 [미셸김 원장 칼럼] 분노 조절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16
67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16
673 [미셸김 원장 칼럼] 서울,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10
67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3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10
671 [미셸김 원장 칼럼] 눈물젖은 마들렌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02
67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2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4-02
669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11)- 손대지않은 황금더미 두개가 더 있다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28
668 [미셸김 원장 칼럼] 나의 보물 영문 타자기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28
66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두통(頭痛:Headache) 1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28
666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10)- 아파치 포로 8년만에 풀려나다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19
665 [미셸김 원장 칼럼] 봄이 오는 소리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19
66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이석증(耳石症)과 현훈증(眩暈症) 4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19
663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그 산에는 아직도 황금이 있을까(9)- 아파치와 의사 'Doc Thorne'의 전설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13
662 [미셸김 원장 칼럼] 마음 비우기 file 아리조나타임즈 2014-03-13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