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song jong chan.jpg


인삼은 녹용(鹿茸), 감초(甘草)와 함께 한약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인 약재입니다. 

또 인삼을 입에 물고 있는 사슴의 모습은 옛부터 한의원의 상징으로 대부분의 한의원 출입문에는 이 모습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필자의 부친이 운영하던 한의원 출입문에도 그 그림이 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인삼은 우리 조상님 때부터 애용해왔던 친숙한 약재 중에 하나입니다. 

한국 사람은 어릴 적부터 흔히 여름철에 땀을 많이 흐리면 원기(元氣)를 보충한다고 인삼을 황기와 함께 달여 마시거나, 더위를 이기려고 삼계탕(蔘鷄湯)으로 보양하였습니다. 

현대에 이르러 인삼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인체 면역기능 향상의 임상적 효과가 의학계에 증명된 결과로 인삼의 소비는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과 동남아시아 정도의 소비에서 이제는 전 세계인의 관심 속에 소비가 매년 증가하여 근래에는 인삼 소비량이 10,000톤이 넘었다고 합니다. 


요즘 한국에서는 수삼(水蔘)을 가공한 홍삼(紅蔘)의 인기가 엄청나게 높아지고 있고, 심지어는 집에 홍삼 제조기를 사다가 온 가족이 홍삼을 물마시듯 마셔서 인삼의 소비량은 폭등(暴騰)하여 한국의 인삼 생산량이 따르지 못해 대량의 중국산 인삼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효능이 있는 약이라도 몸의 상태나 체질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오히려 해가 되므로, 인삼은  복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미로 이번 주부터 인삼 이야기를 써봅니다.


1. 인삼의 사용 역사와 유래

인삼의 우리나라 고유의 이름이 '삼'이 아니고 '심'이였지만, 그 어원 및 사용연대는 알 수 없으나 한의학의 의서인 동의보감(東醫寶鑑), 제중신편(濟衆新編),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인삼이 '심'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므로, '심'이 당시의 명칭이었음을 알 수 있고, 근래까지 산삼 채취인의 은어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심마니들은 산삼을 발견하면 "심~봤다!"라고 외친다고 합니다.


인삼(人蔘)의 '人'자는 인삼의 뿌리 형상이 사람의 모양을 닮았다하여 생긴 것으로 보이며, 삼을 표시하는 한자는 參, 蔘 등으로 중국 문헌에 기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人參이라고 기재되어 있었으나 조선왕조 이후의 기록에는 인삼의 參자가 蔘으로 기록되어 현재까지 人蔘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심'의 명칭이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민족 대대로 내려오는 고유어로 인삼을 가리켜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간 중국 문헌에 최초로 삼이 소개된 것을 근거로 중국을 인삼의 기원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이는 인삼 자생지인 한국보다 중국이 먼저 인삼을 발견하고 약용(藥用)으로 이용했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하지만 인삼의 자생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인 점을 감안할 때 중국 기원설은 많은 허점을 안고 있습니다.

중국 문헌에 인삼 자생지로 기록된 중국 산서성 태행산맥의 상당지방은 기후와 지질학적으로 인삼의 자생지로는 많은 논리적 결함이 있습니다. 

더구나 중국이 최고로 친 조선인삼의 산출지인 한반도가 인삼 기원에서 제외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성립될 수 없습니다.


경보당 한의원 (480) 314-07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 [강위덕 문학칼럼] 산 여 울-이범용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2-13
460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집을 구입할 때 준비사항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2-13
45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중풍(中風:뇌졸중) 4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2-05
458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Santa Fe로 가는 길은 멀고 험했다(2)-돌아오지 않는 사제를 찾아서-Espejo의 대장정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2-05
457 [강위덕 문학칼럼] 자유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2-05
456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숏세일과 주택세금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2-05
45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중풍(中風:뇌졸중) 3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8
454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Santa Fe로 가는 길은 멀고 험했다(1)-무명 옷 입고사는 인디안을 찾아라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8
453 [강위덕 문학칼럼] 어느 바보가 포착한 천체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8
452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숏세일 성공작전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8
451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7개의 황금도시를 찾아라(8)-"모든 것은 끝났다. 이제 돌아갈뿐이다."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1
45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중풍(中風:뇌졸중)2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1
449 [강위덕 문학칼럼] 무언의 묵시록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1
448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숏세일 매매에서는 주택상태 꼼꼼히 살펴야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21
44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중풍(中風:뇌졸중)1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15
446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7개의 황금도시를 찾아라(7)-"황금나라 Quivira에 황금은 없다"(중)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15
445 [강위덕 문학칼럼] 종이 배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15
444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HAFA 숏세일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15
44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고혈압 3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08
442 [이범용 아리조나 역사이야기] 7개의 황금도시를 찾아라(6)-"대평원 지나 황금나라 Quivira가 있다"(상)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11-08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