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조나 타임즈


booked.net

booked.net

booked.net

yoonwonhwan.jpg


아시아교회 형성 이야기중에 우리는 고대로부터 통용된 소위 '실크로드'가 대략 세가지 경로로 운영된 것을 언급하였다. 그것은 북방루트, 남방루트, 그리고 해양루트 등이다. 앞의 북방 및 남방루트는 주후 13-14세기 때 몽골제국이 유라시아 대륙을 장악하면서 인류 최초의 지구촌적 안전하고 일사분란한 관리와 통제속으로 들어갔다. 하지만 그 이후 해양루트의 발전으로 북방 및 남방루트의 사용은 서서히 쇠퇴하게 되었다. 실크로드의 시작이며 끝은 중국으로서 서력기원경  한나라로부터 시작하여 주후 7세기의 당나라 때는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무역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리고 당나라 수도 시안에서 한반도의 북방루트와 해양루트를 통하여 당시 통일신라 경주에도 국제무역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통일신라가 서역과 교역한 물품중에는 유리제품과 더불어 알로에도 포함된다. 

주후 1세기 이후 이와 같은 동서 실크로드는 경제적 교통의 통로만이 아니라 기독교 복음의 동방전래 통로이기도 하였다. 혹자는 인도까지 와서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운 사도 도마가 해양루트를 따라 동남아시아를 거쳐 한반도까지 방문하였다는 추측을 조심스럽게 전개한다. 굳이 사도 도마 자신이 아니라도 그를 추종한 여러 제자들이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그리고 동북아시아까지 흘러 들어와 복음을 전했을 개연성은 없지 않다. 하지만 주후 7세기경에서 9세기까지 중국 당나라에서 활발하게 전개된 네스토리안 교회(경교)와  주당 통일신라시대 방문자들 혹은 유학생들과의 다양한 조우는 상당히 가능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유사> 기록에는 그 당시 당나라에서 유행하던 경교의 도를 신라국에서는 접촉하거나 도입해서는 안 될 것으로 조정에 주청하는 내용도 언급된 것으로 봐서 그 당대 통일신라인들이 중국 당나라까지 전래된 경교의 존재를 어떤 식으로든지 인식했다는 역사적 증거가 된다. 

주후 6세기 이후 중앙아시아와 중국에서 발전된 네스토리안 교회의 역사중에는 이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조우한 타종교들, 특히 불교와 경교 성직자들이 여러 면에서 협력한 사료들이 나타난다. 그 중에 재미있는 일화는 페르시아에서 온 경교 성직자들이 불교 수도승들과 함께 불경이나 성경의 내용을 중앙아시아인들의 언어들인 투르크어, 몽골어, 위굴어 그리고 중국어 등으로 번역함에 있어서 서로 도와주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경교 성직자들이 성경이나 성경주해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불교나 도교의 용어들을 빌려서 사용하고 있음이다. 또한 중국 당나라 시안에 세워진 경교기념비의 상단부에는 기독교적 상징인 십자가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불교상징인 연꽃과 도교상징인 구름이 함께 장식된 것으로 보아 그 당대 종교간의 우호적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위기속에 주후 7세기 이후 중국을 경유한 경교의 여러 가지 흔적들이 당대 한반도의 통일신라로 유입되었으리라는 추정은 무리한 것이 아닐 것이다. 

이미 필자는 아시아 교회 형성 이야기에서 언급한대로 한반도에서의 경교적 흔적은 금강산 장안사에서 출토된 석제 십자가상, 불국사에서 출토된 마리아상 그리고 석등에 새겨진 십자가 문양등에서 추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승불교에서는 없는 미륵불, 즉 미래불이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문양, 전국 여러 사찰 등이나 암반에서 보여지는 삼불상 등은 어떤 식으로든 중국과 한반도에서 불교와 경교가 조우하고 상호교합의 과정이 있었던 것을 추론케 한다.     


만약 당나라 때 중국에서 활발했던 경교가 그 이후에도 계속 존속하고 더구나 주후 13-14세기 때 몽골제국의 짧은 시절에 큰 지원을  받은 경교가 그 이후에도 계속 존속되었다면 경교 형태의 기독교가 한반도에서도 더욱 선명하게 그 존재를 각인시키지 않았을까 하는 추정과 더불어 아쉬움을 토로하게 된다. 

분명히 중국까지 전래되고 상당한 기간 존속된 경교형태의 기독교회가 한반도에서 각인되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은 중국에서 전개된  그 이후의 종교적 박해일 것이고 또한 다른 한가지는 이미 중국과  한반도에서 뿌리를 내린 타종교들의 강한 견제가 작용했을 것이다.

어쨌든 익명의 형태로라도 경교는 한반도 주민들과 조우한 것은 사실이고 이것은 그 이후에 전개되는 한국민의 열렬한 종교성의 또 다른 기저를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지난 날 주후 7세기 이후 14세기까지 중국에 전래되고 존속된 경교형태의 기독교회와 한반도와의 상호교감에 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재발굴하는 지난한 노력들이 앞으로 많이 일어나야 할 것이며 단지 확실한 역사적 사실들에만 매달려 한반도에서의 기독교회의 전래는 주후 18세기 천주교 그리고 19세기 개신교 선교로부터 비로소 시작된다는 단정적이고도 단선적인 사관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42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현훈증(眩暈症)1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27
420 [강위덕 문학칼럼] 퀼트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27
419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오퍼는 진지하게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27
41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부비동염 (副鼻洞炎:Sinusitis) 축농증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19
417 [강위덕 문학칼럼] 잡초의 독백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19
416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가격 후려치기" 안 통한다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19
415 [유신애 부동산 스토리] 숏세일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13
414 [강위덕 문학칼럼] 애리조나의 봄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13
413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대변은 건강의 신호등 2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13
41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대변은 건강의 신호등 2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9-05
411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대변은 건강의 신호등 1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8-30
410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소변은 몸 속의 신호등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8-22
409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복날의 유래와 보양음식 4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8-15
408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복날의 유래와 보양음식 3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8-09
407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복날의 유래와 보양음식 2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8-02
406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복날의 유래와 보양음식 1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7-27
405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한의학적 건강관리 10계명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7-19
404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식중독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7-11
403 [호승재 변호사 법률상식] 비즈니스 계약서의 중요성 아리조나 타임즈 2012-07-04
402 [송종찬 원장 한방칼럼] 여름철 건강관리 2 file 아리조나 타임즈 2012-06-27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